한 마을 전체가 사라졌습니다.
2025년 여름, 유례없는 집중호우로 인해 경남 산청군 상능마을이 완전히 폐허가 되었어요.
산사태와 하천 범람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마을의 기반시설은 물론 주택과 농경지까지 복구가 어려운 수준으로 파괴됐습니다.
결국 산청군은 "원위치 재건이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주민 전원의 마을 외부 이주를 공식화했습니다.
상능마을은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 위치한 고령 인구 중심의 농촌 마을이에요.
7월 집중호우 당시 이 지역에는 짧은 시간 동안 300mm에 육박하는 폭우가 쏟아졌고,
산사태와 하천 범람이 동시에 발생했어요.
주택 수십 채가 무너지고, 도로와 상하수도 시설이 끊기며 일상 자체가 멈춰버린 마을이 됐습니다.
특히 고령자가 많은 마을 특성상, 자력 복구나 장기적 이주 준비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이 문제였어요.
경남도와 산청군은 안전진단 및 복구 가능성 검토를 거쳐, 해당 지역의 원위치 복구는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주민 전원의 이주를 추진하게 된 거죠.
이는 기후재난으로 인한 마을 전면 이주의 대표적 사례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재난 복구를 넘어, 기후위기 시대에서 어떤 방식으로 공동체를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져줍니다.
상능마을은 한때 경남 산청의 평범한 농촌 마을이었지만,
이제는 "기후재난 시대, 공동체 붕괴의 상징적 사례"로 불리고 있어요.
문제는 이런 사례가 앞으로 더 잦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과거에는 복구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재난 회피와 선제적 이주, 공동체 유지 대책이 더 중요해지는 시점에 와 있어요.
특히 이주 이후 고령 주민들의 정서 회복, 심리 지원, 생활 기반 마련 등도 중장기 과제로 남습니다.
산청 상능마을의 사례는 단순히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니에요.
정부 차원의 지원 시스템 정비와, 사회 전체의 관심과 연대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행정 차원에서는 이주 대상 주민의 생계 지원, 심리 상담, 주거 이전비,
새로운 공동체 기반 조성까지 단계별 로드맵이 마련돼야 하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이 같은 피해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후원과 주거·의료 연계 시스템이 필요해요.
이제 우리는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이 마을의 일, 남의 일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