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세 고지서 받았는데, 언제까지 내야 할까? 카드로 내면 뭐가 더 좋을까?"
한 번쯤 궁금했던 적 있으셨죠?
매년 반복되지만 매번 헷갈리는 재산세 납부 시기와 계산 기준, 그리고 카드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기준으로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들, 지금부터 순서대로 확인해보세요.
재산세는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 매년 6월 1일 현재 소유자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즉, 이사나 매매일이 6월 2일 이후라면 납세 의무가 생기지 않아요.
부과 대상은 주택뿐만 아니라 토지, 건물, 선박, 항공기까지 포함되며, 세부 항목별로 납부 시기가 나뉘게 됩니다.
주택의 경우 금액에 따라 7월·9월로 분납되거나, 7월에 전액 일괄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재산세 납부는 일반적으로 7월과 9월, 1년에 두 차례 나눠 진행돼요.
하지만 세액이 적은 경우 한 번에 부과되기도 합니다.
- 납부 시기 대상 항목 설명
7월 16~31일 | 주택 1기분 50%, 건축물·선박·항공기 | 일반적인 재산세 1차 납부 기간 |
9월 16~30일 | 주택 2기분 50%, 토지 | 잔여분 또는 토지세 부과 시기 |
세액이 2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7월 한 번에 전액 납부하도록 되어 있어요.
특히 건축물이나 차량 보유자라면 7월에 한 번만 고지서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산세는 실제 매매가가 아닌 정부에서 발표한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하며,
여기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해 과세표준을 산정합니다. 주택의 경우 2025년 기준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계산된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되며, 금액 구간별로 0.1% ~ 0.4%까지 차등 부과돼요.
정확한 계산은 지방세 납부 사이트나 ETAX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세도 이제 신용카드, 간편결제 앱으로 납부가 가능해졌고,
일부 카드사에서는 캐시백이나 할인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어요.
- 카드사 혜택 / 내용 조건 및 비고
신한카드 | 지방세 납부 시 0.1% 캐시백 제공 | 체크카드 전용 |
KB국민카드 | 직장인보너스카드 사용 시 7천 원 청구할인 |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필요 |
롯데카드 | LOCA Professional 카드로 납부 시 1% 캐시백 | 대상 카드에 한함 |
네이버페이 | 10만 원 이상 납부자 대상 추첨 지급 (3천 원) | 1만 명 한정, 추첨 이벤트 |
KB페이 | 신규고객 30만 원 이상 납부 시 쿠폰 증정 | 앱 설치 및 등록 필요 |
페이북 | 20만 원 이상 납부 시 2천 원 즉시 할인 | 마이태크 기능 활용 시 적용 |
카드사에 따라 전월 실적 조건, 납부 채널(앱·웹·ARS 등)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납부 전 반드시 카드사별 이벤트 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