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근무 중인 미국 군인, 실제 얼마 받는 걸까?”
2025년 주한미군 급여는 단순 ‘기본급’이 아닌 다양한 수당이 포함된 복합적 구조를 갖고 있어요.
특히 해외 파병 수당, 주거비 보조, 위험 지역 근무 수당까지 더해지면
일반적인 군인 연봉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 주한미군 급여의 구성부터 계급별 실수령액,
그리고 방위비 분담과의 연계 쟁점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 급여 체계와 방위비 논의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참고하여 주세요.
2025년 주한미군 급여는 미국 국방부의 공식 ‘Military Pay Table’에 따라 계급과 복무 연차별로 기본급이 정해져요.
예를 들어 E-4 하사 기준 4년 차는 월 $2,800(한화 약 375만 원) 수준이며,
O-3 대위급 이상으로 올라가면 월 기본급만도 600만 원을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기본급(Base Pay)은 미국 내·외 모든 현역 군인에 공통 적용되며,
2025년에도 평균 5.2% 인상되어 지급되고 있습니다.
* 병력 문제 뒤에 감춰진 예산, 운영 리스크까지 이슈들을 참고하여 보세요.
2025 주한미군 급여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한국이라는 ‘해외 근무지’에서 발생하는 추가 수당입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 항목이 있어요:
이처럼 주한미군 급여는 실제 수령액 기준으로 보면
동일 계급 미국 내 복무자보다 훨씬 높은 수준입니다.
2025년 기준 주한미군 급여 중 일부 항목은
한국 정부의 방위비 분담금으로 보전되는 구조입니다.
특히 군무원 인건비와 기지 유지비, 일부 주거지원 예산이 이에 해당되며
“한국이 미국 군인의 급여 일부를 부담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도 여기 있어요.
이 논란은 방위비 협상(SMA)의 핵심 쟁점 중 하나로,
주한미군 급여의 항목 중 어디까지가 ‘한국 부담 대상’인지는
매년 국회와 시민사회에서 꾸준히 문제제기 되고 있습니다.
2025 주한미군 급여는 계급과 근무기간, 가족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집니다.
같은 계급이라도 기혼+가족 동반자의 경우
주거비, 교육비, 주택 지원 등의 수당이 더해져 실질 월급은 30~50% 이상 차이날 수 있어요.
이처럼 주한미군 급여는 복잡한 보상체계를 갖고 있으므로,
단순 월급 기준으로 비교하면 오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미군 공식 보상표를 함께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
2025 주한미군 급여는 단순한 ‘외국 군인 월급’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 세금과 외교 전략, 그리고 안보 부담 분담이라는
다층적 이슈와 연결돼 있기에 지금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주제입니다.